전 세계적으로 한파, 가뭄, 폭우, 태풍 등의 이상기후가 관찰되고 있다.
라니냐는 21세기 처음으로 3년째 지속되고 있다.
2050년까지 전 세계인구의 50%가 물부족을 경험하게 될 것이며, 10억 명가량이 기후난민이 될 것이다.
더위스트레스로 인해서 많은 인구가 죽을 것이다.
농업생산량은 급감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생물다양성이 위협을 받을 것이다.
더 이상 관망하고 있을 시간이 없다.
모두가 벼랑끝에 서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POINT. 1 산업혁명 이 후의 지구 평균온도
산업혁명 이 후 현재까지 지구의 평균온도가 1도가량 올랐다.
이는 지구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온도상승이다.
지난 5억년간의 온도그래프를 보자.
이중 우리가 주목해야할 지점은 5500만년전에 발생했던 펠레오세 극열기이다.
2만년동안 5 ~ 6도가량의 온도상승이 있었음.
지구 평균온도 1도 상승에 필요한 시간은 약 4000만년정도 수준이었다.
과학자들은 시기가 가장 드라마틱한 온도 변화의 시기라고 하며, 주목하고 있다.
가까운 미래의 지구환경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는 굉장히 거대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구의 평균 온도상승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지난 200년간 1도의 온도 상승을 일으킨 에너지는 매초 4개의 원자폭탄 폭발과 맞먹는 에너지였다.
과연 이 에너지는 어디서 왔을까?
POINT 2. 지구온도가 오르는 원인은 무엇인가?
지구온도상승을 시키는 원인은 온실가스이다.
온실가스가 항상 나쁜 것만은 아니다.
적절한 수준의 온실가스는 반드시 필요하다.
만약 온실가스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지구의 평균온도는 영하 20도 가량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온실가스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일까?
오랜 기간 과학자들이 여러 가지 가설을 끊임없이 검증해왔다.
태양의 활동 / 인간이 아닌 기타 동실물의 활동 등 말이다.
그리고 IPCC의 6차 보고서에서 인간의 책임이 99.99%이라고 발표하였다.
"의심했던 다른 요인들은 모두 반박이 가능하였다."라고 말이다.
POINT 3. 온도가 상승하면 발생하는 일
지구의 역사를 살펴보면,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한 후에 5차례의 대멸종을 겪었다.
1차 대멸종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대멸종 ) , 주요 원인 : 이산화탄소 급감에 의한 빙하기
2차 대멸종 (고생대 데본기 대멸종) , 주요 원인 : 조류로 인한 바다 산소 차단
3차 대멸종 (폐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 주요 원인 : 대규모 화산폭발에 의한 기후변화
4차 대멸종 (트라이아스기-중생대 쥐라기 대멸종) , 주요 원인 : 화산폭발에 의한 지구온난화
5차 대멸종 (백악기-고생대 대멸종) , 주요 원인 : 소행성 충돌에 의한 기후변화
위의 대멸종사례의 대부분이 기후변화와 온도변화의 사례이다.
최상위 포식자가 살아남은 적은 없었다.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위기가 아닌 인류의 위기이다.
POINT 4. 이산화탄소 배출을 멈추는 것은 공정한가?
인류의 문명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발전해왔다.
따라서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은 경제를 둔화시키는 일이다.
그럼 배출규제를 모두에게 똑같은 적용하는 것은 공정한가?
현재의 온도상승은 누적 배출된 탄소량으로 만들어진 결과이다.
따라서 선진국들이 더 많은 희생을 해야 한다.
그래야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전 지구적인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온도상승이 일부국가에게는 이득일 수 있다.
그래서 더 전 지구적인 공조가 필요하다.
POINT 5.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해결방법을 알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어디서 왔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는 발전소에서 왔고, 발전소의 터빈을 돌리면서 만들어진다.
이 터빈을 돌릴 때에는 증기가 필요하고, 증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열원이 필요하다.
이 열원은 석탄 / 석유 등의 에너지에서 왔다.
석탄은 3억 5000만년 전에 식물이 썩지 않고 쌓여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때에는 식물을 썩히는 박테리아가 없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식물의 에너지는 결국 태양에서 왔다.
이와 같이 지구상의 에너지를 추적하면 태양에서 온 것이다.
결국 최선의 방법은 태양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활용하는 것이다.
POINT 6. 우리가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서 손실 없는 에너지 사용은 불가능하다.
불편하지만 에너지를 적게 사용해야 한다.
가정기기의 효율을 챙기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기까지는 현명하게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 First Steps (~2023.5.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성 가득한 나만 알고픈 이자카야 _ 정발산 영도(榮道) (0) | 2023.01.02 |
---|---|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 시대 _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1) | 2023.01.01 |
최고의 치즈 안주 _ 아페리프레 꼬뜨다쥐르 (Aperifrais Cote d'azur) (0) | 2022.12.29 |
반전가득한 분위기 甲 레스토랑 _ 파주 만수옥 (feat. 크리스마스 코스) (0) | 2022.12.24 |
인하대 후문 대표 이자카야 _ 국제식당(國際食堂)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