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nvestment

부자 되는 습관 _ Hakkkkkku's 주간 경제 신문 #6

반응형

2023.3.6 ~ 2023.3.11 주간경제신문 스크랩

 

POINT 1. 여전히 탄탄한 미국 고용시장 _ 3월 빅스텝 시계 더 빨라지나.

2월 비농업 신규고용 견조 임금상승률도 가팔라져.

실업률 54년 만에 최저 금리 0.5% 인상 확률 61%

결국 3월 미국이 빅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언론에서 말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직접 확인해 봤다.

미국 실업지표 및 소비자물가지표 (출처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첫 번째, 미국 실업률지표다.

2023년 2월 미국 민간실업률은 3.6%이다.

2020년 4월 코로나19로 인한 실업률 14.7% 정점을 찍은 이후로 계속 실업률은 줄어들고 있다.

완전고용에 가까운 상황으로 임금상승의 압박이 커져가는 상황이다.

두 번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변동률이다.

2023년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변동률은 6.4%이다.

비교해 볼 만한 지표는 2008년도 지표이다.

이때가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이었고, 당시 소비자물가상승률은 5.6%였다.

당시 민간실업률은 4.4% 정도였다.

미국은 이때도 어김없이 금리를 올렸고 1% 정도의 금리를 2.5%까지 올렸다.

지금 미국금리는 4.75%이다.

왜 경제전문가들이 지금 상황이 기형적이라고 말하는지 조금을 알 것 같다.

금리변동에 따라 민감하게 움직여야 할 각종 지표들이 아직 누그러지지 않으니 말이다.

 

POINT 2. '전세 시대' 끝나간다고? _ 서울 月 거래 1만 건대 회복

2월 거래량 최소 1만 771건 한달만에 855건 늘어나

가격급락 + 이사철에 수요가 몰렸다.

내가 부동산에 관심이 있으니깐, 부동산 관련 소식을 가져와봤다.

전세 거래 물량 및 비중 / 전세가, 매매가 변동을 알아봤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거래량 및 전세비중(전월세 比) DATA출처 : 서울 부동산정보광장

첫 번째, 서울 아파트의 전세거래량 및 전세비중

서울의 전월세거래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전월세대비 전세거래량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해당 DATA는 2018년도 2월부터 2023년도 3월까지의 DATA이다.

적어도 이 기간동안은 탈전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물론 아직 전세비중이 57.9%로 월세보단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그래프를 보면 월세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 전세가 / 전세가율 DATA출처 : 통계청

두 번째,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 / 전세가 / 전세가율

사실, DATA 시점이 각기 달라서 명확한 비교는 어렵다.

그래도 최근 부동산 열풍이 정말 대단했구나 새삼 깨닫게 되었다.

DATA는 객관적인 사실만 알려줄 뿐 결정은 투자자의 몫이다.

어떻게 해석하고 행동할지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판단하지 않는한 섣부르게 움직이면 안될 것 같다.

 

 

부자 되는 습관 _ Hakkkkkku's 주간 경제 신문 #5

POINT 1. 서울 부동산 거래, 또 1천 건 넘었다... "반등은 아직" 지난달 거래량 최소 1379건 / 두 달 연속 1000 건대 기록 매수심리는 2주 만에 다시 하락 / 거래량은 호황기 때 30% 수준 송파구와 강동구

haku-motivation.tistory.com

 

 

반응형